칼럼

[기자의눈]현대·기아차의 책임감이 클 수밖에 없는 이유

*협력 정비소들에 대한 철저한 관리 요구돼

기사승인 [2013-07-11 06:09], 기사수정 [2013-07-11 08:30]

  • 확대
  • 축소
  • 인쇄
  • facebook
산업부 / 최성록


아시아투데이 최성록 기자 = 지난 9일자 본지에 실린 '순정오일 써야 사후서비스(AS)…비용 두 배 부담에도 속수무책' 기사가 나간 후 일부 이해당사자들에게 항의를 받았다. 

주된 내용은 충분히 양심적으로 운영하는 현대·기아차 협력정비소들이 많은데 일부의 잘못이 전체의 잘못처럼 확대된다는 주장이었다.

현대·기아차측도 “만약 이 같은 일이 비일비재 했다면 본사가 확인할 수 있었을 텐데 그러지 못했던 것을 보면 일부의 문제로 판단 된다”며 “우리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최소화하기 위해 협력 정비업체에 대한 교육 및 감독을 확실히 하고 있다”고 말했다.

즉 현대·기아차와 협력사 모두 철저하게 관리·감독하고 있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여기엔 치명적인 허점이 있다. 이 같은 감독은 ‘무상 보증서비스’에만 국한된다는 것이다.

‘일반 수리’의 경우 극소수의 직영점을 제외한 대부분의 협력업체들이 개인사업자인 만틈 오일 교체 등에 문제가 발생한다 하더라도 현대·기아차가 이들 협력정비소에 뭐라고 강요 할 수 있는 입장이 아니다.

하지만 대다수의 소비자들은 협력 정비업체를 찾을 수밖에 없다. 현대·기아차의 직영 AS센터가 현대차의 경우 23개, 기아차는19개 밖에 되지 않기 때문이다. 반면 협력 가맹점 의 경우 현대차가 1423개, 기아차는 813개에 달한다.

게다가 일반 소비자들의 경우 협력업체가 현대·기아차 상호를 걸고 있으면 본사에서 지원 및 관리 감독을 하는 걸로 생각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래서 영세업체의 경우 현대차, 스피드메이트 등 대기업과 제휴해 비싼 브랜드 사용료를 주더라도 라이센스를 맺는 것이다.

따라서 현대·기아차는 협력사들의 부당한 행동을 차단해야 하는 관리·감독에 대한 책임도 피할수 없다. 

“이 부분은 우리와 계약한 부분이 아니니 책임을 질 수 없다”는 입장은 글로벌 1위를 지향하는 국내 1위 자동차 업체의 올바른 자세가 아니다. 

앞으로 현대·기아차는 무상보증 서비스 뿐만 아니라 무상보증 기간이 끝난 차량에 대해서도 협력 정비 업체에 대한 관리·교육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설사 일부 협력 정비업체들이 잘못했더라도 브랜드 간판을 걸고 있는 만큼 현대·기아차 이미지 실추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