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단독

임단협 재개 앞둔 현대·기아차, 파업·통상임금 후폭풍에 고민↑

기사승인 [2017-10-30 06:00]

  • 확대
  • 축소
  • 인쇄
  • facebook
basic


아시아투데이 김병훈 기자 = 노동조합 파업과 통상임금 소송, 수출 부진 등 내우외환을 겪고 있는 현대·기아자동차가 또다른 암초를 만났다. 현대차 노사가 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 재개를 앞둔 가운데 기아차 노조도 새 집행부 선거에 돌입하기 때문이다. 특히 파업 장기화에 따른 생산·판매 감소와 기아차 통상임금 패소 후폭풍이 가시화되면서 양사의 올해 판매 목표 달성 또한 불투명해졌다.

29일 노동계와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노사가 31일 임단협 교섭 재개를 위한 상견례를 갖는다. 이는 현대차 노조 6대 집행부가 지난 8월 말 교섭 중단을 선언한 이후 두 달여 만이다.

현대차 노사는 지난 4월 20일 임단협 상견례를 시작으로 30여 차례 교섭을 거듭했지만, ‘완전한 주간연속 2교대제(8시간+8시간 근무)’ 실무 협의에서 노사 간 입장차로 합의를 이루지 못했다. 특히 쟁점인 임금 부문에서 사측의 별도 추가 제시 없이 노사 모두 기존 입장을 고수해 잠정합의가 불발됐다.

하부영 신임 노조 위원장이 이끄는 현대차 노조 7대 집행부는 올해 임단협 교섭의 주요 목표로 ‘통상임금 쟁취’를 내걸었다. 기아차 노조가 통상임금 1심 승소로 1인당 1500만원을 더 받을 수 있게 된 반면 비슷한 수준의 임금을 받는 현대차 노조는 2015년 통상임금 소송에서 2심까지 패소했기 때문이다. 당시 법원은 현대차가 취업규칙에 명시한 정기상여금 지급 규정(월 15일 이상 근무자 기준)의 경우 고정성이 없어 통상임금이 아니라고 판단한 바 있다.

현대차 노조는 올 들어 추석 이전까지 5번의 부분파업과 3번의 휴일특근 거부로 3만8000대(약 8000억원)의 생산차질을 빚었다. 올해 남은 2개월 동안 노조의 강경투쟁으로 파업이 장기화 국면에 접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새 집행부가 “시간에 쫓겨 졸속 합의는 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내놓으면서 임단협의 연내 타결 여부도 불투명해졌다.

여기에 현대차로서는 올해 판매 목표 달성을 위해서라도 4분기 실적 개선이 시급한 상황이다. 실제 현대차는 올 3분기 글로벌 시장에서 전년 동기 대비 1.2% 감소한 107만1496대를 판매했다. 매출과 영업이익은 24조2000억원, 1조2000억원을 기록하며, 각각 9.6%, 12.7% 증가했지만, 당기순이익의 경우 16.1% 감소한 9392억원에 그쳤다. 이로써 현대차의 순이익은 국제회계기준(IFRS)이 도입된 2010년 이후 2분기 연속 1조원의 문턱을 넘지 못했다.

현대차는 지난 26일 3분기 실적발표에서 코나·G70 등 신차 판매로 수익성을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일각에선 임단협 장기화에 따른 생산 둔화는 판매 감소와 직결되기 때문에 이른 시일 내에 노사 간 결론을 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현대·기아차 관계자는 “최근 출시한 신차는 국내공장에서만 생산하고 있어 초반 물량공급이 중요하다”며 “노조와 원만한 교섭을 통해 고객 인도에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현대차 노사 간 임단협 타결 시 기아차 노사가 이에 따르던 관행도 올해는 기대하기 어렵다. 기아차가 통상임금 판결 여파로 올 3분기 10년 만에 분기 적자 전환하는 타격을 입은 데다 30일 새 노조집행부 확정을 앞두고 있기 때문이다. 기아차 신임 노조 집행부는 다음달 초 예정된 임단협에서 통상임금 소송 결과에 맞춰 미래의 통상임금 기준에 대한 합의점까지 찾아야 한다는 과제도 안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현대·기아차의 올 3분기 실적에서 알 수 있듯이 기아차 통상임금 패소에 따른 후폭풍은 이제 시작 단계”라며 “통상임금과 관련한 노조의 줄소송과 파업 장기화, 부품사들의 경영난 등 풀어야 할 난제가 산적해 있다”고 말했다.